본문 바로가기
I 이벤트, 정보 나누기

25년도 학생정서, 행동특성 검사 참여링크

by 망고_레인보우 2025. 4. 7.
반응형

학생정서·행동특성검사는 우리나라의 초·중·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심리검사로,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과 정신건강을 지원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도구입니다. 대상으로 1학년, 4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

 

🧠 학생정서·행동특성검사란?

교육부와 **한국교육학술정보원(KERIS)**에서 주관하여 시행하는 온라인 심리검사입니다.

이 검사는 학생이 학교생활이나 일상에서 겪는 정서적 문제나 행동상의 어려움을 조기에 발견하고,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시행됩니다.


🎯 검사 목적

    • 정서 및 행동문제 조기 발견
    • 위기학생 선별 및 상담 연계
    • 정신건강 증진과 학교 적응력 향상
    • 가정·학교·지역사회 연계 시스템 마련

반응형

👩‍🏫 검사 대상

  • 초등학교 1, 4학년
  • 중학교 1학년
  • 고등학교 1학년, 특수학교, 각종학교
  •  

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 동영상

🧾 검사 구성

  • 학생 본인 확인 번호
  • 자기보고식 문항 (학생이 직접 답)
  • 대표 문항 예시:
    • “나는 친구들과 잘 어울린다.”
    • “자꾸 짜증이 나거나 화가 난다.”
    • “혼자 있고 싶을 때가 많다.”

점수를 기반으로 관심군/비관심군으로 분류되고, 필요 시 상담교사나 전문가의 추가 면담이나 외부 연계 지원이 이루어집니다.

🧭 학생정서·행동특성검사 처리 절차 요약표


1단계 1차 검사 (학교) 온라인/서면 검사 실시
2단계 학교상담·면담 문제 유형 및 심각성 확인
3단계 관심군 선별 - 일반관리군
- 우선관리군
- 자살위험군
4단계 전문기관 2차 조치 Wee센터, 청소년상담복지센터,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연계
5단계 병·의원 연계 필요한 경우 정신과 등 전문치료 및 상담 제공
지속관리 학교 내 지속관리 체계 - 관심군 대상 정기 상담
- 전문기관 의뢰 후 결과 공유 및 후속관리

 

📌 중요한 점

  • 해당 검사는 문제점을 진단이 아니라 선별용 도구입니다.
  • 검사 결과는 비공개로 안전하게 보호되며, 정서 지원을 위한 참고 자료로만 사용됩니다.
  • 현재 정서, 행동 측면에서 연령에 적합한 발달단계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자료로 성실하고 솔직한 응답이 매우 중요합니다.

 

반응형